전계란? (Electric field)
전하 주변에 생성되는것으로써 눈에 보이지 않지만 전하 주변에 전기적 힘의 선(line)의 모양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양(+)전하에서는 이러한 힘의 방향이 전하로부터 밖으로 나아가는 방향이며, 반대로 음(-)전하에서는 이러한 힘의 방향이 음(-)전하로 향하는 방향을 취한다.
Figure. Field directions of the Charge
(http://physics.bu.edu/~duffy/PY106/Electricfield.html)
전계 강도 (electric field strength or electric field intensity (E))
어떠한 지점에서건 전계 강도는 한점에 위치한 단일 양(+)전하로인해 발생하는 힘으로 정의된다.
q: 쿨롱단위의 전하 강도
f: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힘(N)
따라서 E의 단위는 Newton/Coulomb 또는 Volt/Meter
전기선속(Electric Flux)
전기 선속이란 전계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특정 영역을 통과하는 전기적인 힘의 선(the total number of electric lines of force)의 수를 일컫는다. 전기 선속 밀도 D의 단위는 Coulomb/m^2이다.
유전율(Permittivity)
전하사이에 전기작용이 적용되었을때 절연 매개체 내에서의 전기선속 밀도(D)의 비율로 정의된다. 수학적으로 유전율의 단위는 Farad/meter이다. 유전율이 의미하는 바는 어떤 매개체가 전기적 전하의 흐름을 저지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항상 1(unity)보다 큰 값을 가진다(예, 공기의 유전율: 1).
유전 상수(Dielectric Constant)
유전상수는 어떤 물질의 절연 특성을 결정하는 값으로 매개체의 유전율과 자유 공간의 유전율의 비율로 나타내어진다.
전기 편극(the electric polarization)
원자(atom)을 고려해볼때, 이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을 띈다. 즉, 전자의 (-)전하의 중심인 동시에 양(+)핵 전하(nuclear charge)이다. 다시말하면, 원자는 순(net) 쌍극자 모멘트를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원자들이 외부 전계에 놓이게 되면, 양(+)전하의 중심은 전계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반면에 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절연체가 전계의 놓여지게 되면, 이러한 쌍극자(dipole)들이 모든 원자 내부에서 생성되게 된다.
Figure.
Left) Position of +ve and -ve charges in an atom without field.
Right) Position of +ve and -ve charges in an atom with field.
분극률(Polarizability, α)
전계 E(electric field)가 증가하게 되면, 유도 쌍극자(the induced diople)의 강도 또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유도 쌍극자 모멘트는 전계 강도에 따라서 비례적이다.
유도 쌍극자 모멘트 μ=αeE
αe=electronic polarizability
이온 분극화(Ionic Polarization)
이온분극화는 -ve와 +ve이온들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으로 인해 생겨나며 전계가 존재하는 이온화 고체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이동은 온도에 관하여 독립적이다. (Ex, NaCl crystal)
Left) 전계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 right) 전계가 적용되었을때
분극화의 방향성(Orientation Polarization)
분극화 방향성은 절연 매개체에서 분극 분자의 존재로 인해 생겨나게 된다.
Left)전계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 Right) 전계가 적용되었을때
공간 전하 분극화(Space charge polarization)
공간전하 분극화는 전계의 방향과 함께한 이온의 확산때문에 일어난다. 그리고, 절연체에서 전하의 재배치를 이끌어 낸다.
left)전계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 right)전계가 적용되었을때
외부의 전계가 적용되지 않았을때에는, 이온들은 순차적으로 배열되게 된다. 반대로 전계가 적용되었을때는, 각각의 이온들이 전계의 적용 방향에 관련해서 확삭되게 되고 분극화 현상(공간전하 분극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분극화는 페라이트(ferrite: 아철산염) 이나 반도체(semiconductor)에서 매우 작은 값을 가진다.
출처:
SRM University, PH102 Unit 1, Lecture 3
'소소한 POWER SYSTEM > Power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도체 vs 절연체 vs 반도체 (0) | 2019.03.19 |
---|---|
PEA Technique Overview (0) | 2019.03.18 |
병렬 콘덴서(Shunt Capacitor) (0) | 2019.03.12 |
HVDC converter transformer (0) | 2019.03.01 |
파워 그리드 교류와 직류의 전쟁(AC vs DC) (0) | 2019.03.01 |